Tech Insight by 이공박사

구글+삼성 = 스마트안경?! 젠틀몬스터와 와비파커 협업 한다는대요?

베이스맵 2025. 5. 22. 11:01
728x90
반응형

 

 

2025년 5월,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서 열린 구글의 연례 개발자 회의(Google I/O 2025)에서

이 두 기술 대기업이 협력 중인 혼합현실(Mixed Reality, XR) 기반 스마트 안경이 깜짝 공개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콘셉트가 아닌, 실물 시연을 통해 참석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스마트 안경은 정식 출시 일정은 아직 밝히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XR 헤드셋 프로젝트인 '무한'이 먼저 공개된 이후,

2025년 하반기 중 언팩 행사 혹은 별도 출시 이벤트를 통해 본격적인 제품 출시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 안경은 구글이 소프트웨어(SW)를, 삼성전자가 하드웨어(HW)를,

그리고 퀄컴이 칩셋을 맡는 3자 협업 형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디자인 측면에서도 글로벌 아이웨어 브랜드인 '젠틀몬스터'와 미국 브랜드 '와비 파커'가 협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 중심이 아닌 패션성과 착용감을 동시에 잡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그럼 어떤 기능이 탑재될까요?

스마트 안경은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가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실시간 번역, 일정 등록, 내비게이션 안내, 사진 촬영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외국인이 말을 걸면 즉시 번역된 문장을 보여주거나, 주변 음식점을 찾으면 화면에 추천 정보를 표시해주는 식입니다.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능들이 안경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공된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사실 구글은 2013년 '구글 글래스'라는 이름으로 스마트 안경 시장에 먼저 도전했지만,

당시에는 기술적인 한계와 시장 미성숙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2024~2025년 현재는 AI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XR 생태계의 확산 덕분에,

이번 재도전은 훨씬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구글은 '프로젝트 마리너'라는 별도의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웹브라우저를 AI가 직접 탐색하고 조작할 수 있는 기능까지도 개발 중입니다.

이와 같은 기술은 스마트 안경에서 더욱 자연스럽게 구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경을 통해 온라인 쇼핑을 하거나 뉴스 검색을 할 때,

AI가 자동으로 관련 정보를 정리해 보여주고, 사용자의 클릭만으로 구매나 탐색이 이어지게 되는 방식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인상적인 부분은, 구글이 강조한 "편안함"입니다.

하루 종일 착용 가능한 안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는 결국 기술보다 디자인과 착용감을 얼마나 사용자 친화적으로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부분에서 젠틀몬스터와 와비 파커 같은 패션 브랜드가 참여하는 이유도 납득이 됩니다.

 

앞으로 이 스마트 안경이 상용화되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학생에게는 맞춤형 학습 피드백을, 직장인에게는 일정 관리와 회의 정리를,

관광객에게는 언어 번역과 길 찾기를, 의료진에게는 실시간 정보 분석과 진단 보조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편, 스마트폰 이후의 차세대 디바이스로서 XR 스마트 안경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블루에스랩과 같은 AI 전문 기업이 이러한 기술 흐름에 맞춰

고도화된 에이전트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며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구글과 삼성의 XR 스마트 안경은 단순한 기술 제품을 넘어서

새로운 생활 방식과 산업 구조의 전환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웨어러블, 패션, 헬스케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될 수 있는 이 기술은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미래의 중요한 축이 될 것입니다.

 

이제는 단순한 정보 소비가 아니라,

AI를 활용해 능동적으로 일하고 생각하고 살아가는 시대.

그 중심에 XR 스마트 안경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더욱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