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Insight by 이공박사
AI 시대, 인간성·윤리·일자리… 우리가 직면한 5가지 정책 과제
베이스맵
2025. 6. 22. 15:01
728x90
반응형
AI가 일상이 된 지금, 윤리·법·신뢰·일자리 등 복합적 정책 난제가 떠오르고 있다.
한국과 세계 각국이 대응 중인 핵심 과제를 정리해본다.
핵심 키워드: AI 정책, AI 윤리, 생성형 AI, 디지털격차, 알고리즘 책임, AI 기본법, 인공지능 거버넌스, 글로벌 AI 규제
인공지능은 왜 '정책 문제'가 되었는가
AI는 이제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사람의 일과 삶, 사회와 제도 전반을 흔들고 있다.
자동화, 생성형 콘텐츠, 챗봇, AI 의사결정 시스템 등은 편리함과 효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우리가 준비하지 못한 영역에서 복잡한 문제들을 불러오고 있다.
산업과 노동의 재편, 일자리 문제
AI는 공장 자동화, 고객 응대, 문서 작성까지 점점 더 많은 업무를 대신하고 있다.
반복 작업 중심의 일자리는 빠르게 사라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장년층, 저숙련 노동자 중심으로 불안정한 노동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역량이 부족한 사람들과 AI에 익숙한 인재들 간의 격차도 커지고 있다.
알고리즘의 신뢰성과 법적 책임 문제
AI 시스템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투명하지 않다.
사람들은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설명을 듣기 어렵고,
AI가 만든 정보가 잘못되었을 때 누가 책임지는지도 명확하지 않다.
생성형 AI가 가짜 정보나 편향된 결과를 만들 경우, 피해는 고스란히 사용자에게 전가될 수 있다.
인간성과 윤리, AI는 어디까지 대신해야 할까?
AI가 교육, 상담, 돌봄 등 감정 노동까지 침범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공감, 창의성, 판단 능력은 대체 불가능한 영역이다.
이 지점에서 'AI 윤리'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한다.
우리는 어떤 영역까지 AI에게 위임할 수 있으며, 어디서 선을 그어야 할까?
디지털 격차와 AI 주권
AI 기술은 특정 대기업이나 강대국에 집중되는 구조를 띠고 있다.
기술을 갖지 못한 지역이나 계층은 점점 더 소외되고 있다.
한국, EU, 미국은 각자 AI 법제와 가이드라인을 제정 중이지만, AI 기술은 국경을 넘는다.
따라서 국제 공조와 글로벌 데이터 거버넌스, 윤리 기준의 통일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응 방안, 법, 제도, 그리고 시민 참여
한국은 2024년 ‘AI 기본법’을 제정하고 고위험 AI 시스템에 대해 설명책임·투명성·안전성 기준을 세웠다.
EU는 세계 최초로 'AI Act'를 시행하여 위험 등급에 따라 규제를 차등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법과 제도만으로는 부족하다.
공공부문의 AI 활용 가이드라인, 시민 참여 기반 거버넌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확대가 병행되어야 한다.
기술보다 중요한 건 '어떻게 다룰 것인가'
AI 시대의 문제는 결국 사람의 문제다. 기술이 아닌, 그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
어떤 사회적 합의를 통해 관리하느냐에 따라 미래가 달라질 것이다.
지금 필요한 건 기술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AI 사회 설계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