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부는 2025년 경제정책방향 중 하나로 주택공급 확대와 SOC 조기 착공을 통한 건설경기 보강을 추진하고 있어요.
특히, 뉴:홈 10만호 공급, 신축매입임대 확대, 공공택지 개발 가속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규모 주거 인프라 정책이 진행 중이에요.
주택공급 확대 주요 계획
① 뉴:홈 주택 10만호 공급
② 공공주택 및 민간임대주택 13.8만호 착공
③ 신축매입임대 15만호 중, 3만호 상반기 조기 계약 체결
④ 분양가에 택지가산비·건축가산비 반영 추진
→ 원가 상승 요인을 공정하게 반영하겠다는 취지
재정·보증 정책과 연계된 공급 촉진
- 공공지원 민간임대리츠에 4,500억원 조기 집행(상반기)
- HUG(주택도시보증공사) 자본 확충을 위한 정부 출자
- 주택 PF·정비사업·지방 미분양 주택 보증 확대 (30조원 이상)
→ 공급 확대뿐 아니라 금융 안전망 확충 병행
지역별 대응과 수도권 확대 전략
- 수도권 내 공공택지 미분양 매입 확약
- 서울·경기 지역 신규택지 후보지 3만호 발표 예정
- 신축매입임대 입주 시기 앞당기기 위해
→ 착공 시 매입대금 10% 선지급 인센티브 제공
→ 조기착공지원팀 운영으로 빠른 입주 유도
SOC 조기 발주 및 건설경기 회복
정부는 민간 건설경기 침체 속에서
LH·SH 등 공공부문이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강조하고 있어요.
철도, 전력구, 교통 인프라 등 SOC 조기 집행은
지역 경제 회복과 건설산업 고용 유지에 필수적인 축이 되고 있어요.
마무리 요약
2025년 정부는 주택 공급 속도와 규모를 동시에 키우겠다는 입장을 밝혔어요.
재정·금융·행정이 총동원된 이 정책은 단순한 공급 확장 이상으로
건설경기 회복, 주거 안정, 청년층 주거 접근성 향상까지 겨냥하고 있어요.
함께 생각해봐요
2025년 주택 공급 확대 정책,
당신이 사는 지역에도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728x90
반응형
'생활 정책정보 파랑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통일부 사회문화 교류지원사업, 남북 왕래·문화협력 경비 전액 지원받는 법 (0) | 2025.05.13 |
---|---|
2025 말산업 인재 양성 사업, 어떤 기관이 지원받을까 (0) | 2025.05.13 |
정부가 푸는 2025 민생지원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2) | 2025.05.11 |
‘교육→인턴→채용’까지 연결되는 현대차·기아의 동반성장 채용 전략, 생각해보기 (2) | 2025.05.08 |
2025 IBK 청년인턴, 단순 체험 아닌 '채용 전략'으로 봐야 하는 이유 (1)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