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이해진 의장 알죠? 네이버 그 분. 그분이 다시 경영에 복귀했는데,
복귀하자마자 어디 갔냐면 대만이래요.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이랑 직접 만나러. 왜 갔냐면,
AI 쪽에서 큰 그림 그리고 있는 거 있죠.
‘소버린 AI’라고, 나라별로 자기 언어랑 문화를 담은 AI를 직접 만들어보자는 거예요.
그러니까 네이버는 LLM 같은 인공지능을 만들고, 엔비디아는 거기 들어가는 GPU 같은 칩을 주는 거죠.
둘이 손잡고 동남아 시장부터 제대로 공략해보겠다는 얘기라네요.
특히 이번에 태국에 있는 시암AI클라우드라는 회사랑 MOU도 맺었다고 하더라고요.
그 회사는 태국 정부에서도 꽤 밀어주는 회사인데,
여기랑 같이 태국어에 맞춘 AI 비서 같은 걸 만든대요.
말로는 연말까지 서비스를 실제로 돌려보는 게 목표라고.
재밌는 건, 이게 단순한 협업이 아니라는 거예요.
이걸 시작으로 관광, 의료, 공공서비스 이런 데까지 AI를 넣어보겠다는 거죠.
우리나라에서 ‘하이퍼클로바X’ 만들고 데이터센터까지 돌린 그 방식 그대로 태국에도 적용해보려는 거예요.
근데 이게 왜 중요한가 하면, 지금 전 세계적으로 AI 싸움이 장난 아니잖아요.
미국이니 중국이니 서로 잡겠다고 난리인데, 네이버는 그런 나라들 말고,
중립적인 위치에서 동남아나 중동 같은 데랑 손잡고 AI 만들어보겠다는 거죠.
엔비디아도 그런 점에서 네이버랑 손잡은 거고요. 한마디로 서로 필요했던 거예요.
그래서 김유원 대표가 네이버클라우드는 AI부터 데이터, 클라우드, 인프라까지 다 갖췄으니까
어떤 나라든 거기에 맞는 AI 시스템을 만들어줄 수 있다, 이렇게 자신 있게 얘기했대요.
딱 보면 느껴지죠? 이젠 진짜 AI도 나라별로 따로 만드는 시대가 온 것 같다고.
그걸 네이버랑 엔비디아가 같이 하고 있다는 게 꽤 흥미롭지 않아요?
앞으로 이 동맹이 다른 나라까지 퍼질지,
아니면 태국에서만 잘 될지, 조금 더 지켜봐야겠지만 시작은 꽤 신선하고 탄탄해보이네요.
'Tech Insight by 이공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수석 임명 이후 네이버·카카오 주가 급등, 정부 정책 수혜 본격화 (0) | 2025.06.19 |
---|---|
챗GPT도 ‘자기 보존’ 본능을 가질 수 있을까? (4) | 2025.06.18 |
구글+삼성 = 스마트안경?! 젠틀몬스터와 와비파커 협업 한다는대요? (2) | 2025.05.22 |
AWS, 누구나 쉽게 AI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는 개발 도구를 공개하다 (1) | 2025.05.21 |
생성형 AI는 구시대? 이제는 ‘에이전틱 AI’ 시대입니다 (4) | 2025.05.21 |